최근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이 중국기업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유통업계 진출 확대로 한국의 해외전자상거래 적자 폭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5년간(2018~2023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 달러에서 지난해 5조8000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4.4%인 전체 소매업 성장률의 3.3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징동닷컴, 알리바바, 핀둬둬 등 중국 이커머스 빅3사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성장률(CAGR) 평균은 연 41.0%로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14.6%)보다 2.8배 높았다.
지난해 글로벌 이커머스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미국 아마존이 차지했다. 이어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한국) 순으로 글로벌 이커머스 5대 기업 중 3개를 중국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한국의 이커머스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한국의 이커머스 시장은 역대 최고치인 228조9000억원으로 중국(3954조2000억원), 미국(1521조6000억원), 영국(256조3000억원), 일본(252조9000억원)에 이어 세계 5위였다. 지난 2022년 기준 이커머스 침투율은 세계 3위 수준인 33.7%로 미국(15.0%), 일본(12.9%)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전년 대비 121.2% 증가한 3조3000억원으로 미국(1조90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한국의 최대 이커머스 구매 국가였으나 지난해 중국에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는 2021년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앞질러 적자 전환됐고 지난해에는 적자 폭이 5조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월간 사용자 수 기준)를 살펴보면 중국 플랫폼들은 지난해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 G마켓 등 한국의 주요 플랫폼들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의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1위 쿠팡 ▲2위 11번가 ▲3위 G마켓 ▲4위 티몬 ▲5위 알리익스프레스 5위(2018년 한국 진출)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그러나 지난 5월에는 ▲1위 쿠팡 ▲2위 알리익스프레스 ▲3위 11번가 ▲4위 테무 4위(2023년 7월 한국 진출) ▲5위 G마켓으로 중국기업에게 2위와 4위 자리를 내주었다. 특히 지난해 7월 한국에 진출한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4위로 올라선 테무는 3위와의 격차도 크지 않아 급성장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국내시장에 대한 중국 플랫폼이 국내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유통정책 개선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국내 유통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공휴일 의무휴업과 영업시간을 제한받고 있고 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위해(危害) 식‧의약품,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온라인플랫폼의 소비자보호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중국 이커머스 기업은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이커머스 사업으로 확보한 정보를 필요시 중국 정부에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만큼 정보 유출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통플랫폼 고도화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중소 제조사 브랜드 제고와 품질향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성태 마켓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