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해외 직구’ 안전성 검대 확대
상태바
서울시,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해외 직구’ 안전성 검대 확대
  • 김성태 기자
  • 승인 2024.05.24 1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세훈 시장 “시민 안전한 삶 보장은 서울시 책무, 안전한 소비문화 조성 모델 마련”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플랫폼 직구 제품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품질‧안전성 검사시스템 구축을 위해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손을 잡았다. 자료사진=알리익스프레스 홈페이지 화면 캡처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플랫폼 직구 제품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품질‧안전성 검사시스템 구축을 위해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손을 잡았다.

서울시는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FITI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KCL은 국내 유일 안전인증 어린이(물놀이기구‧놀이기구‧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비비탄총)제품 전 품목 대상 안전 인증업무 수행기관이다. FITI시험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유관기관이자 한국인정기구(KOLAS) 제1호 국제공인시험기관이다. KATRI시험연구원은 지난 1965년 출범해 반세기 넘게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보유한 국제공인 종합시험인증기관이다. 

시와 3개 기관은 신속·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더 많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다. 이와 함께 식품용 기구, 위생용품, 화장품 등 품목에 대해선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안전성 검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3개 기관은 지난 4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안전성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민관협력 검사 체계가 더욱 공고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의성 있는 안전성 검사 확대하고 유해성이 확인된 상품의 해외직구를 철저히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시에 따르면, 오는 6월부터는 어린이 제품은 물론 시민 생활과 밀접한 식품 용기, 위생용품 등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다. 7~8월은 물놀이용품, 우산, 선글라스 등 계절적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제품에 대한 집중적인 검사를 진행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소비자의 선택권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나 그 과정 속 숨어있는 위협으로부터 시민의 안전한 삶을 지켜내는 것은 서울시의 책무”라며 “서울시의 선도적‧적극적인 안전성 검사를 시작으로 정부와 타 지자체도 각종 대응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늘 협약 또한 다각적인 협력체계 확립의 시작이자 시민의 안전이 더 철저하게 보장되는 선제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태 마켓뉴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